https://sopia80.tistory.com/ 이재명 vs 김문수 vs 이준석, 경제 정책 차이는 무엇인가?
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이재명 vs 김문수 vs 이준석, 경제 정책 차이는 무엇인가?

by sopia80 2025. 5. 13.
반응형

2025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도대체 누가 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입니다.

오늘은 대선 주요 후보 3인,
이재명(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이 세 사람의 경제 정책을 표와 해설로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대선후보 3인

📊 후보별 경제 정책 비교 요약표

    항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경제 기조 공정성 기반 성장 기업 주도 성장 기술기반 시장 자유화
산업 전략 반도체·AI·방산 국가 주도 투자 원전·가상자산·GTX 확대 플랫폼 산업 자율화·청년 창업 생태계 확대
재정 정책 확장 재정, 복지 확대 재정 건전성, 세금 감면 공공부문 슬림화, 청년 예산 전환
노동 정책 플랫폼 노동자 보호 노동 유연성 확보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축소, MZ형 유연 근무
부동산 정책 공공주택 공급 확대 규제 완화 + 공급 확대 청년주택 바우처, 시장 중심 재정비
세제 정책 부유세, 상속세 강화 법인세 인하, 투자 세액공제 청년 창업 감세, 부동산 보유세 정비
청년 정책 일자리 보장제 민간 중심 청년 창업 디지털 교육 확대, 10년 내 소득 2배 프로젝트
 

🔍 후보별 경제 철학과 주요 공약 정리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기조: "공정한 성장을 통한 대전환"
  • 핵심 정책:
    • 국가 주도 AI·반도체·에너지 산업 투자
    • 기본소득형 복지 확대
    • 공공주택 확대 및 부유세 도입
    • 플랫폼 노동자 법적 보호 확대

➡️ 장점: 사회안전망 강화, 미래 산업 육성
➡️ 한계: 재정 부담과 과잉 규제 우려


🔴 김문수 (국민의힘)

  • 기조: "민간 활력 통한 성장 회복"
  • 핵심 정책:
    • GTX 등 SOC 확충, 원전 재가동
    • 기업 세금 인하 및 규제 완화
    • 노동시장 유연화
    • 주택 규제 전면 철폐, 재개발 활성화

➡️ 장점: 단기 내 경제 회복 기대, 규제 개혁
➡️ 한계: 양극화 문제 방치 가능성


🟡 이준석 (개혁신당)

  • 기조: "MZ 세대 중심, 디지털 자율 성장"
  • 핵심 정책:
    • 창업 감세, NFT·가상자산 제도화
    • 유연근무제·정규직 규제 개편
    • 청년주택 바우처, 디지털 교육 의무화
    • 공공기관 축소, 예산 재구조화

➡️ 장점: MZ세대 공감도 높고 실용적 접근
➡️ 한계: 기존 제도에 대한 충돌 가능성, 경험 부족 지적


🧠 결론: 누가 경제를 이끌 수 있을까?

이재명은 복지와 산업을 함께 키우는 정부 주도형,
김문수는 시장 중심의 전통적 성장론,
이준석은 디지털 경제에 특화된 세대 맞춤 전략을 내세웁니다.

💬 블로그 독자 분들께서는

  • 안정성과 복지를 원한다면 ➡️ 이재명
  • 투자환경 개선전통산업 성장을 원한다면 ➡️ 김문수
  • 디지털 기반 경제의 미래성장청년친화 정책을 선호한다면 ➡️ 이준석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