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도대체 누가 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입니다.
오늘은 대선 주요 후보 3인,
즉 이재명(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이 세 사람의 경제 정책을 표와 해설로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후보별 경제 정책 비교 요약표
항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경제 기조 | 공정성 기반 성장 | 기업 주도 성장 | 기술기반 시장 자유화 |
산업 전략 | 반도체·AI·방산 국가 주도 투자 | 원전·가상자산·GTX 확대 | 플랫폼 산업 자율화·청년 창업 생태계 확대 |
재정 정책 | 확장 재정, 복지 확대 | 재정 건전성, 세금 감면 | 공공부문 슬림화, 청년 예산 전환 |
노동 정책 | 플랫폼 노동자 보호 | 노동 유연성 확보 |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축소, MZ형 유연 근무 |
부동산 정책 | 공공주택 공급 확대 | 규제 완화 + 공급 확대 | 청년주택 바우처, 시장 중심 재정비 |
세제 정책 | 부유세, 상속세 강화 | 법인세 인하, 투자 세액공제 | 청년 창업 감세, 부동산 보유세 정비 |
청년 정책 | 일자리 보장제 | 민간 중심 청년 창업 | 디지털 교육 확대, 10년 내 소득 2배 프로젝트 |
🔍 후보별 경제 철학과 주요 공약 정리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기조: "공정한 성장을 통한 대전환"
- 핵심 정책:
- 국가 주도 AI·반도체·에너지 산업 투자
- 기본소득형 복지 확대
- 공공주택 확대 및 부유세 도입
- 플랫폼 노동자 법적 보호 확대
➡️ 장점: 사회안전망 강화, 미래 산업 육성
➡️ 한계: 재정 부담과 과잉 규제 우려
🔴 김문수 (국민의힘)
- 기조: "민간 활력 통한 성장 회복"
- 핵심 정책:
- GTX 등 SOC 확충, 원전 재가동
- 기업 세금 인하 및 규제 완화
- 노동시장 유연화
- 주택 규제 전면 철폐, 재개발 활성화
➡️ 장점: 단기 내 경제 회복 기대, 규제 개혁
➡️ 한계: 양극화 문제 방치 가능성
🟡 이준석 (개혁신당)
- 기조: "MZ 세대 중심, 디지털 자율 성장"
- 핵심 정책:
- 창업 감세, NFT·가상자산 제도화
- 유연근무제·정규직 규제 개편
- 청년주택 바우처, 디지털 교육 의무화
- 공공기관 축소, 예산 재구조화
➡️ 장점: MZ세대 공감도 높고 실용적 접근
➡️ 한계: 기존 제도에 대한 충돌 가능성, 경험 부족 지적
🧠 결론: 누가 경제를 이끌 수 있을까?
이재명은 복지와 산업을 함께 키우는 정부 주도형,
김문수는 시장 중심의 전통적 성장론,
이준석은 디지털 경제에 특화된 세대 맞춤 전략을 내세웁니다.
💬 블로그 독자 분들께서는
- 안정성과 복지를 원한다면 ➡️ 이재명
- 투자환경 개선과 전통산업 성장을 원한다면 ➡️ 김문수
- 디지털 기반 경제의 미래성장과 청년친화 정책을 선호한다면 ➡️ 이준석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우크라이나-러시아 휴전 가능성은? (0) | 2025.05.18 |
---|---|
한진그룹 vs 호반건설, 또다시 시작된 경영권 전쟁 - 투자자는 무엇을 주목할까? (0) | 2025.05.17 |
테슬라 폰, 애플·삼성의 강적 될 수 있을까? (2) | 2025.05.12 |
🌍 인도-파키스탄 전쟁,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5.05.11 |
🚖 테슬라 자율주행 택시, 게임체인저가 될까? (0) | 2025.05.11 |